프랑스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해군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지중해, 영국 해협, 대서양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7세기에는 리슐리외 추기경과 콜베르의 지휘 아래 근대 해군을 확립했고, 18세기에는 대영 제국과 경쟁하며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19세기에는 나폴레옹 전쟁, 식민지 확장, 기술 혁신을 겪었으며,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냉전을 거치면서 현대화와 핵무장을 추진했다. 21세기에는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주요 장비로는 샤를 드 골 항공모함,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바라쿠다급 잠수함 등이 있다. 프랑스 해군은 해상 작전 군, 잠수함 부대, 해군 항공대, 해병대 등 4개의 주요 작전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과의 군사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4년 설립 - 총융청
총융청은 1624년 인조 때 수도 외곽 방어를 위해 설치되어 궁궐 경비와 북한산성 관리 업무를 수행했으며, 1884년 폐지될 때까지 수도 방어 역할을 담당했다. - 프랑스 해군 - 청년학파
청년학파는 19세기 프랑스 해군에서 시작되어 어뢰정과 통상 파괴 전술로 해군력 열세를 극복하려 한 전략 사조로, 소형 함정 중심 전략과 기술 혁신 중시 특징을 가지며 약소국 해군에 영향을 주었다. - 프랑스 해군 - PANG급 항공모함
PANG급 항공모함은 프랑스가 건조 예정인 75,000톤급 차세대 항공모함으로, 32대의 NGF와 UCAV를 탑재하고 2038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한다.
프랑스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랑스 해군 |
별칭 | (라 로얄) |
창설일 | 1624년 |
국가 | 프랑스 |
군종 | 해군 |
역할 | 해상전 |
규모 | 정규군 37,000명 (2021년) 민간인 7,000명 (2021년) 함정 180척 항공기 178대 |
본부 | 주요: 브레스트, 일롱그, 툴롱 2차: 셰르부르, 로리앙 해외 영토: 포르드프랑스, 데그라데 칸느, 포르데갈레, 자우지, 누메아, 파페에테 해외: 다카르, 지부티, 아부다비 |
표어 | 명예, 조국, 용맹, 훈련 |
색상 | 파란색, 흰색, 빨간색 |
지휘 구조 | |
최고 사령관 |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
해군 참모총장 | 아미랄 니콜라스 보주르 |
해군 부참모장 | 부제독 스타니슬라스 구를레 드 라 모트 |
주요 부대 | |
해군 전투 부대 | FAN |
잠수함 부대 | FSM |
해군 항공대 | AVIA |
해병대 | FORFUSCO |
마르세유 해군 소방대 | 마린 퐁피에 |
해상 헌병대 | 젠다르메리 마리팀 |
함대 지원 부대 | Service de soutien de la Flotte |
장비 | |
함정 | 현역 함정 |
공격기 | 라팔 M |
전자전기 | 호크아이 |
전투기 | 라팔 M |
헬리콥터 | NH90 링스 팬더 도팽 |
해상초계기 | 아틀랑티크 2 팔콘 50 팔콘 200 |
훈련기 | 무드리 CAP 10 MS-88 랠리 팔콘 10 신구 |
전투 | |
참전 전투 | 영프 전쟁 (1627년~1629년)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년~1659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9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 영프 전쟁 (1778년~1783년)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타구스 전투 제과 전쟁 크림 전쟁 멕시코 제2차 프랑스 개입 청불 전쟁 프랑스의 모로코 정복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인도차이나 전쟁 한국 전쟁 알제리 전쟁 오퍼레이션 머스킷티어 비제르트 위기 레바논 내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코소보 전쟁 1999년 동티모르 위기 테러와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오페라시옹 아르마탄 홍해 위기 오퍼레이션 아스피데스 |
기타 | |
군가 | 해군 행진곡 |
해군기 | [[파일:Ensign of France.svg|100px|center|border]] |
이미지 | |
![]() |
2. 역사
프랑스 해군(Marine Nationale)은 1624년 루이 13세의 재상 리슐리외 추기경에 의해 창설된 프랑스 왕립 해군(Marine Royale)에서 기원했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공식 명칭은 Marine Nationale으로 변경되었으며, 프랑스 제1제국과 프랑스 제2제국 시기에는 황실 프랑스 해군(la Marine impériale française)으로 불렸다. 그러나 제도적으로는 오랫동안 "la Royale"이라는 약칭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프랑스 해군의 초기 상징은 금색 닻이었으며, 1830년부터는 밧줄이 얽힌 모양으로 바뀌었다.[12] 이 닻 상징은 해군 함정, 무기, 제복 등에 사용되었고, 제복에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990년 해군 참모총장 베르나르 루조(Bernard Louzeau) 재임 시절, 프랑스 국기를 형상화한 새로운 로고가 도입되었다.
프랑스 해군은 역사적으로 키브롱 만 해전, 미놀카 섬 해전, 위상 섬 해전 (1778년), 마르티니크 섬 해전, 위상 섬 해전 (1781년), 포르투 프라야 해전, 체서피크 만 해전, 세인츠 해전, 나일 해전, 트라팔가르 해전, 리스 해전 (1811년), 나바리노 해전, 크림 전쟁, 시모노세키 전쟁, 마강 해전, 갈리폴리 전투, 다카르 해전, 머서케빌 해전, 코창 섬 해전, 카사블랑카 해전, 수에즈 사태 등 주요 해전에 참여했다.
20세기 이후, 프랑스 해군은 2001년-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물류 지원을 제공하고, 2011년 리비아 하르마탄 작전(Opération Harmattan)을 지원하는 등 국제적인 분쟁에 참여하고 있다.
2. 1. 기원
프랑스 해군의 역사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세 가지 발전 중심지를 가지고 있었다.- 지중해: 성 요한 예루살렘 기사단은 자체 해군인 레반트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주요 항구는 프레주, 마르세유, 툴롱이었다. 종교 및 군사 기관이었던 기사단은 프랑스 귀족 가문 출신 기사들을 모집했다. 바다에서 복무를 마친 단원들은 기사단원이라는 계급을 부여받았으며, 이들은 장교단을 구성하는 엘리트였다. 기사단은 프랑스 해군사관학교를 포함한 현대 프랑스 해군 학교의 조상 중 하나였다.
2. 2. 17세기: 근대 해군의 확립
리슐리외 추기경은 1643년 사망할 때까지 직접 해군을 감독했다.[13] 그의 뒤를 이은 장-밥티스트 콜베르는 프랑스 해군의 최초 규정을 도입하고 브레스트와 툴롱에 최초의 해군 조선소를 설립했다.[13] 콜베르와 그의 아들 장-밥티스트 콜베르 드 세니글레이 백작은 29년 동안 해군을 관리했다.[13]이 시기에 프랑스 해군은 1627년-1629년 영불 전쟁, 1635년-1659년 프랑스-스페인 전쟁,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9년 전쟁 등에서 경험을 쌓았다. 이 시대의 주요 해전으로는 아우구스타 해전, 비치 헤드 해전 (1690년), 바르플뢰르 및 라 우그 해전, 라구스 해전 (1693년), 텍셀 해전 (1694년) 등이 있다.
중세의 영불 백년전쟁 이후, 프랑스는 영국과 유럽에서 라이벌 관계에 있었다. 1688년, 영국에서 명예혁명이 일어나자, 자신이 지원하는 제임스 2세를 축출당한 루이 14세는 영국에 대해 적대적인 정책을 취했고, 1690년에는 비치 헤드 해전에서 투르빌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가 영국-네덜란드 연합 함대를 완파했다. 양군 합쳐 120척이 넘는 이 해전의 규모는 당시 최고 수준이었다.
프랑스 해군은 재상 리슐리외, 콜베르의 지휘 아래 강대한 국력을 배경으로 유럽 최고의 세력을 자랑했지만, 영국 해군도 투지와 기량으로 이에 맞섰고, 영불 해협 양안 및 대항해시대를 거쳐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간 식민지와 본국을 잇는 장대한 항로에서 양측의 배가 서로 공격했다. 이 ‘게릴 드 끌루즈(통상파괴전)’이라 불리는 긴 전투에서 장 바르, 클로드 드 폴방, 르네 뒤게트루앙 등 현대까지 프랑스 해군 함선 이름에 계승되는 해군 군인이자 사략선 선장들이 배출되었다.
2. 3. 18세기: 대영 제국과의 경쟁과 혁명의 격랑
18세기는 10년 이상 지속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으로 시작되었고, 1740년대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뒤따랐다. 이 전쟁들의 주요 전투로는 비고 만 해전과 1747년 두 차례의 피니스테르 곶 해전이 있다. 그러나 해군에게 가장 힘든 갈등은 7년 전쟁이었는데, 이 전쟁에서 프랑스 해군은 사실상 궤멸되었다.[13] 주요 전투로는 캡프랑세 해전, 퀴베롱 만 해전, 그리고 또 다른 피니스테르 곶 해전이 있다.해군은 재편성되고 재건되었으며, 15년 만에 프랑스가 개입한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할 준비가 되었다.[13] 모든 곳에서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프랑스 함대는 승리할 때까지 수년 동안 영국 함대를 저지했다.[13] 이 갈등과 동시에 발생한 1778년-1783년 영불 전쟁 이후, 해군은 역사상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13] 이 시기의 주요 전투로는 체서피크 해전, 헨리 곶 해전, 그레나다 해전, 도미니카 침공 및 세 차례의 우산트 곶 해전이 있다.
그러나 10년도 채 되지 않아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해군은 궤멸되었는데, 많은 베테랑 장교들이 귀족 출신이라는 이유로 해임되거나 처형당했기 때문이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군은 프랑스 혁명 전쟁과 준전쟁을 통해 격렬하게 싸웠다. 주요 전투로는 네 번째 우산트 곶 해전(영어로는 6월 1일의 영광으로 알려짐), 그로아 해전, 1794년 5월 대서양 전역, 아일랜드 원정, 토리 섬 해전, 그리고 나일 해전이 있다.
2. 4.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식민지 확장, 그리고 기술 혁신
19세기 초, 프랑스 해군은 나폴레옹의 지휘 아래 영국 침공을 목표로 했으나, 1805년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영국 해군에 대패하여 큰 타격을 입었다.[13] 이 패배로 나폴레옹 전쟁 동안 영국의 해상 우위가 확고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해군은 바스크 로드 해전, 그랑 포르 해전 등에서 계속 활약했다.
1815년 나폴레옹 몰락 이후, 프랑스 해군은 프랑스 식민 제국 확장의 주요 도구로 활용되었다.[13] 샤를 10세는 1830년 알제리 침공을 감행했고, 루이 필립 1세는 타구스 강 해전과 베라크루스 전투에서 무력 시위를 벌였다. 나폴레옹 3세는 크림 전쟁, 코친차이나 원정, 제2차 아편전쟁, 멕시코 프랑스 개입, 프랑스의 조선 원정, 시모노세키 전투 등에서 해군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는 독일 해안을 봉쇄하기도 했다.[14][15]
프랑스 제3공화국 시기에도 식민지 확장 정책은 계속되었고, 청불 전쟁에서 푸저우 해전, 십포 해전 등에서 승리하며 인도차이나 지배권을 확립했다. 1893년 프랑스-시암 분쟁에도 참여했다.
19세기 프랑스 해군은 해군 포병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페이크산 포와 같은 혁신적인 무기를 개발하고, 1850년에는 세계 최초의 증기 추진 전열함 을, 1859년에는 세계 최초의 철갑함 를 건조했다. 1863년에는 세계 최초의 기계 동력 잠수함 을 진수했고, 1876년에는 세계 최초의 강철 선체 군함 을, 1887년에는 세계 최초의 장갑 순양함 를 건조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주네 에콜''(젊은 학교) 이론이 등장하여, 소형 어뢰정을 이용한 전함 격파와 장거리 통상 파괴를 통한 적 상선 공격을 강조했다.
2. 5. 20세기: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냉전

프랑스 최초의 수상기인 파브르 수상기(Fabre Hydravion)는 1910년에 비행했고, 최초의 수상기 모함인 푸드르는 그 다음 해에 취역했다.[16] 이러한 혁신에도 불구하고, 독일과 영국 간의 군비 경쟁이 심화되면서 20세기 초 프랑스 해군의 발전은 느려졌다.
프랑스는 비교적 현대적인 함선이 적은 상태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전쟁 중에는 주요한 프랑스의 노력이 육상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함선 건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영국이 북해를 장악한 반면, 프랑스는 지중해를 장악하고 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을 감시했다.[13] 해군의 가장 큰 작전은 다르다넬스 작전 중에 수행되었다.[13] 1916년 12월, 노엠브리아나 사건 당시 프랑스 군함은 아테네를 폭격하여 친독일 그리스 정부의 정책을 바꾸도록 강압하려 했다.[17] 프랑스 해군은 또한 정기적인 해상 순찰과 호송대 호위를 통해 독일의 U보트 작전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3]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에 해군은 1922년 워싱턴 해군 조약에 의해 설정된 제한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현대화와 확장을 이루었다.[13] 새로운 함선으로는 빠르고 강력한 팡타스크급 "슈퍼-구축함"들, 리슐리외급 전함들, 그리고 당시 가장 크고 강력한 잠수함인 쉬르쿠프가 포함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해군은 대서양 전투, 노르웨이 전투, 덩케르크 퇴각, 그리고 잠시 지중해 전투에 참여하는 등 여러 작전에 참여했다. 그러나 1940년 6월 프랑스 함락 이후, 해군은 비시 프랑스의 축소된 국가를 만든 휴전 조건에 따라 중립을 유지해야 했다. 전 세계적으로 약 100척의 군함과 승무원들이 샤를 드골 장군의 영국과의 합류 호소에 응했지만, 모든 주력함을 포함한 함대의 대부분은 비시 프랑스 해군(Marine de Vichy)에 충성을 옮겼다. 독일 해군이 어떻게든 함선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로, 영국은 많은 함선이 정박해 있던 알제리 도시 메르스엘케비르를 메르스엘케비르 공격했다. 이 사건은 영국과 프랑스의 관계를 악화시켜 비시 프랑스의 보복과 1942년 연합군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를 침공했을 때 카사블랑카 해전을 초래했다. 그러나 독일이 비시 프랑스를 점령하자 이러한 충돌은 중단되었다. 주력함은 점령의 주요 목표였지만, 함선이 압수되기 전에 자체 승무원에 의해 자침되었다. 소수의 소형 함선과 잠수함은 시간 내에 탈출하는 데 성공했고, 이들은 드골의 프랑스 자유군 해군에 합류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영국 해군의 보조 부대로 싸웠다. 태평양 전선에서도 프랑스 자유군 함선은 일본 항복까지 운영되었으며, 리슐리외는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참석했다.
해군은 나중에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걸프 전쟁, 코소보 전쟁에서 화력 지원과 병력 수송을 제공했다.
2000년 이후 해군은 2001년-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전 세계적인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 2011년에는 리비아의 하르마탄 작전(Opération Harmattan)을 지원했다.
2. 6. 21세기: 현대화와 국제 협력
워털루 전투 이후 샤를 10세는 국내 정치적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해외 식민지 확장에 나섰다. 1830년 알제리 원정을 시작으로 프랑스 해군은 아프리카, 멕시코, 남양, 아시아 등지에서 프랑스의 식민지 확장에 앞장섰다.1884년 청불 전쟁에서 프랑스 함대는 마강 해전에서 청나라 해군(복건 함대)을 궤멸시켰다. 프랑스 해군은 사국 함대의 하관 포격과 요코스카 조선소 건설에 관여했으며, 일본 해군 최초의 관함식에도 관련이 있다. 보신 전쟁의 미야코만 해전에서는 막부군을 지원하기도 했다.
일본 해군은 초기에 프랑스로부터 기술을 도입했고, 에밀 베르탕에게 삼경함 설계를 의뢰하기도 했다. 우네비가 1886년 남중국해에서 실종되기도 했지만, 마쓰시마는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연합함대 기함을 맡았다. 그러나 19세기 말 일본 해군은 영국식 함선과 속사포 조합을 선호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프랑스는 일본에 구축함 건조를 위탁하여 12척을 발주했다. 이 함선들은 아랍급 구축함으로 1936년경까지 배치되었다. 프랑스 해군은 갈리폴리 전투에 참가하여 전함 "뷔브"를 잃기도 했지만, 대전 기간 동안 큰 해전은 없었다. 프랑스 해군은 주로 지중해에서 수송선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 혁명 후 러시아에 대한 개입 전쟁에도 참여했지만, 해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전후 프랑스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로부터 함선을 접수하려 했으나, 스카파 플로에서 독일 함대가 자침하면서 무산되었다.
3. 조직 및 구성
2014년 기준으로 프랑스 해군은 36,776명의 군인과 2,909명의 민간 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9] 해군은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요 작전 부대로 구성된다.
- 해상작전군(Force d'Action Navale) – 수상함대.
- 잠수함 부대(Forces Sous-marines) – 핵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 및 함대 잠수함.
- 해군 항공대(Aviation Navale) – 지상 및 해상 기반 항공기.
- 해병대(Fusiliers Marins) – 해군 특수전 부대(Commandos Marine)를 포함한 경비대 및 보병.
또한, 프랑스 국가헌병대는 프랑스 해군의 작전 지휘 아래 있는 순찰정의 해상 부대인 해상헌병대(Gendarmerie maritime)를 유지하며, 이는 프랑스 해안 경비대 역할을 한다.
냉전 대부분 기간 동안 해군은 브레스트와 툴롱에 기지를 둔 두 개의 함대(ALESCLANT(대서양 함대 사령관)과 ALESCMED(지중해 함대 사령관)이 각각 지휘)로 구성되었다. 냉전 이후 구조 조정 과정(Optimar '95)을 거치면서, 두 부대는 해상 작전 군(ALFAN이 지휘)과 대잠 전단(ALGASM이 지휘)으로 분할되었다.[20]
정치적 불안과 마지노선 건설로 인한 군사 예산 부족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불황과 세계 대공황을 거치면서 무솔리니가 집권한 이탈리아와 히틀러가 집권한 독일과의 관계가 적대적으로 변하면서 이 두 나라가 프랑스 해군의 가상 적국이 되었다. 중일전쟁 시기까지 상하이 황푸강 위에는 조계에 권익을 가진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의 4개국 군함이 일렬로 정박하는 광경이 오랫동안 목격되었다.
해군의 전체 조직은 국방법에 의해 규정되며, 1991년 7월 14일 법령 제91-871호에 의해 성문화된 이후로는, 다음 5가지를 기본 축으로 하여 각종 운용이 이루어진다.
- 해군 참모본부
- 수상함대
- 해군 관구
- 지원부대
- 교육기관
2020년 현재, 현역 병력 38,829명, 민간인 2,700명으로 총 약 42,000명이다. 군사 작전은 합동참모본부 의장의 지휘 하에 수행되며, 해군 참모총장은 이를 보좌한다. 2020년 예산은 26억유로(인건비 16.4억유로 포함)이다.
프랑스 본토의 해군 관구 사령부는 다음과 같다.
- 대서양 해군 관구 사령관 (CECLANT) 사령부: 브레스트
- 지중해 해군 관구 사령관 (CECMED) 사령부: 툴롱
- 해협 해군 관구 사령관 (COMAR MANCHE) 사령부: 셰르부르
해외 해군 관구 사령부는 다음과 같다.
- 인도양 해군 관구 사령관 (ALINDIEN) 사령부: 보급함 "바르"
- 태평양 해군 관구 사령관 (ALPACI) 사령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파페에테
- 배치 중인 전략 해양 부대(ALFOST) 소속 잠수함.
다음 부대는 해군 참모총장의 지휘 아래 운영된다.
- 해군 전투 부대(FAN) (Naval Action Force)
- 잠수함 부대(FSM)
- 해군 항공대(AVIA)
- 해군 특수전 사령부(FORFUSCO)
- 프랑스 해군 코만도(Commandos Marine)
- 마르세유 소방대(Bataillon de Marins-Pompiers de Marseille)
- 해상헌병대(Gendarmerie Navale)
3. 1. 주요 기지
2014년 기준으로 프랑스 해군의 가장 큰 기지는 툴롱 군항이다. 프랑스 본토의 다른 주요 기지로는 대서양 연안의 브레스트 군함 정비소와 일롱 섬, 그리고 영국 해협 연안의 셰르부르 해군 기지가 있다. 프랑스 해외 기지로는 아메리카 대륙의 포르드프랑스와 드그라드데깡이 있으며, 인도양에는 갈레 항과 자우지가, 태평양에는 누메아와 파페에테가 있다. 또한, 해군은 아부다비, 다카르 및 지부티와 같은 외국 지역의 기지를 공유하거나 임대하고 있다.'''함선 기지'''
- 브레스트 해군 조선소
- 셰르부르 군항
- 툴롱 군항
- 로리앙 항
- 바용 항
- 포르드프랑스 항 (마르티니크)
- 데그라드데깡 항 (프랑스령 기아나)
- 폴 드 라 포앵트 드 갈레 (레위니옹)
- 지부티시 항 (지부티)
- 누메아 항 (뉴칼레도니아)
- 파페에테 항 (타히티섬)
롱 섬은 잠수함 기지이지만, 통합참모본부 전략해양부대가 관리한다.
'''항공 기지'''
4. 장비
프랑스 해군은 다양한 함정과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함정으로는 전략원잠, 공격원잠, 핵항공모함, 구축함, 호위함 등이 있다.
프랑스 해군 항공대(Aéronautique navale)는 1998년 6월 19일 해군 해상초계기 및 항공모함 비행대대가 통합되면서 창설되었다.[1] 약 6,800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프랑스 본토의 4개 공군 기지를 중심으로 근무하며, 샤를 드 골 항공모함에서 운용되는 다쏘 라팔 전투기 등을 보유하고 있다.[1]
2011년 6월 기준 프랑스 해군 항공대 보유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1]
종류 | 기종 | 대수 |
---|---|---|
고정익기 | 엠브라에르 EMB 121 싱구 | 11 |
그루먼 E-2C 호크아이 | 3 | |
다쏘 팔콘 10MER | 6 | |
다쏘 팔콘 200 가디언 | 5 | |
다쏘 팔콘 50M | 5 | |
다쏘 라팔 M | 28 | |
다쏘 브레게 쉬페르 에탕다르 | 34 | |
회전익기 | 아에로스파시알 SA 319B 알레트 3 | 25 |
아에로스파시알 SA 330Ba 퓨마 | 100 | |
웨스트랜드 링스 Mk.4 | 25 | |
유로콥터 SA365F/N 도핀 2 | 3/6 | |
유로콥터 AS565MA 팬터 | 16 | |
유로콥터 EC225 | 2 | |
유로콥터 EC725 R2 쿠거 Mk.2 플러스 레스코 | 4 | |
유로콥터 EC725 HUS | 10 | |
NH 인더스트리 NH90 NFH | 2 |
4. 1. 주요 함정
함종 | 함급 | 척수 | 비고 | |
---|---|---|---|---|
전략원잠 | 르 트리옹팡급 | 4 | ||
공격원잠 | 슈프랑급(바라쿠다급) | 1 | 3척 건조 중, 2척 계획 중 | |
공격원잠 | 뤼비급 | 3 | ||
핵항공모함 | 샤를 드 골 (R91) | 1 | 2001년 취역 | |
구축함 | 포르방급 (오리존급) | 2 | ||
구축함 | 아키텐급 | 8 | 대잠형 6척, 방공형 2척 | |
호위함 | 라파예트급 | 5 | ||
호위함 | 데스티엔느 돌르브급 | 5 | 프랑스 해군 분류상 통보함[45][44] | |
호위함 | 플로레알급 | 6 | ||
초계함 | 당트르카스토급 | 4 | [45][46] | |
초계함 | 아스트롤라브(P800 L'Astrolabe) | 1 | 쇄빙선으로 분류하는 자료도 있음[45] | |
초계함 | 라페루즈(Lapérouse)급 | 1 | 측량함과 동일 선체 | |
초계함 | 아라고(P675 Arago) | 1 | 1991년 | |
초계정 | 웃르메르(outre-mer)급 | 1 | 5척 건조 중[49][50] | |
초계정 | 콩피앙스급 | 3 | [45][51] | |
초계정 | 르 말랭(P701 Le Malin) | 1 | 2005년[45][52] | |
초계정 | 플라망급 | 3 | [45][53] | |
초계정 | 풀마르(P740 Fulmar) | 1 | [45][48] | |
강습상륙함 (LHD) | 미스트랄급 | 3 | ||
강습상륙함 | 미스트랄(L9013) | 2006년[43] | ||
강습상륙함 | 토네르(L9014) | 2007년[43] | ||
강습상륙함 | 딕스뮤드(L9015) | 2012년[43] | ||
汎用상륙정(LCU) | EDA-S형 | 2 | [45] | |
전차상륙정(LCT) | EDA-R형 | 4 | [45][54] | |
중형상륙정(LCM) | CTM형 | 11 | [45] | |
수중작업모선 | 뷔륍깡(Vulcain)급 | 4 | [45][55] | |
뷔륍깡(M611 Vulcain) | 1986년[55] | |||
쁠뤼통(M622 Pluton) | 1986년[55] | |||
아셰롱(A613 Achéron) | 1987년[55] | |||
스티크스(M614 Styx) | 1987년[55] | |||
수중작업모선 | 라페루즈(Lapérouse)급 | 1 | 측량함과 동일 선체 | |
알리제(A645 Alizé) | 2005년[56] | |||
수중작업모정 | VIP21형 | 9 | 디오네(Y790 Dionée), 미요조티스(Y791 Myosotis), 갈데니아(Y792 Gardénia), 리제롱(Y793 Liseron), 마그놀리아(Y794 Magnolia), 아종(Y795 Ajonc), 제네(Y796 Genêt), 지로플레(Y797 Giroflée), 아캉트(Y798 Acanthe) | |
기뢰제거함 | 에리단급 | 9 | [45] | |
안드로메드(M643 Andromède) | 1984년 | |||
페가스(M644 Pégase) | 1985년 | |||
오리온(M645 Orion) | 1986년 | |||
크루아 뒤 쉬드(M646 Croix du Sud) | 1986년 | |||
에글(M647 Aigle) | 1987년 | |||
리르(M648 Lyre) | 1987년 | |||
사지타리(M650 Sagittarie) | 1996년 | |||
세페(M652 Céphée) | 1988년 | |||
카프리코르느(M653 Capricorne) | 1987년 | |||
기뢰전 시험정 | 안타레스(Antarès)급 | 3 | 연안 소해정으로 분류하는 자료도 있음[45] | |
기뢰전 시험정 | 라페루즈(Lapérouse)급 | 1 | 측량함과 동일 선체, 수중작업 지원정이나 매설정 등을 겸함[58] | |
테티스(A785 Thétis) | 1988년[58] | |||
해양관측함 | 보탱 보프레(A758 Beautemps-Beaupré) | 1 | 2003년[45][59] | |
해양관측함 | 푸르쿠아 파?(Pourquoi Pas ?) | 1 | 2005년[45] | |
정보수집함 | 뒤퓌 드 롬(A759 Dupuy de Lôme) | 1 | 2006년[45][60] | |
측량함 | 라페루즈(Lapérouse)급 | 3 | [45][61] | |
라페루즈(A791 Lapérouse) | 1988년[61] | |||
보르다(A792 Borda) | 1988년[61] | |||
라플라스(A793 Laplace) | 1989년[61] | |||
미사일 추적함 | 몽주(A601 Monge) | 1 | 1992년[45][62] | |
훈련함 | 시메르(Y711 Chimere) | |||
훈련함 | 레오파르(Léopard)급 | 8 | [45][63] | |
레오파르(A748 Léopard) | 1982년[63] | |||
팡테르(A749 Panthère) | 1982년[63] | |||
자규아르(A750 Jaguar) | 1982년[63] | |||
랭크스(A751 Lynx) | 1982년[63] | |||
게파르(A752 Guépard) | 1983년[63] | |||
샤칼(A753 Chacal) | 1983년[63] | |||
티그르(A754 Tigre) | 1983년[63] | |||
리옹(A755 Lion) | 1983년[63] | |||
훈련함 | 글리신(Glycine)급 | 2 | [45] | |
글리신(A770 Glycine) | 1992년 | |||
에글랑틴(A771 Eglantine) | 1992년 | |||
훈련함 | 앙가장트(Engageante)급 | 1 | 1척 건조 중 | |
앙가장트(Y751 Engageante), 비질랑트(Y752 Viggilante) | ||||
훈련범선 | 라 벨 풀(La Bellle Poule)급 | 2 | ||
레투아르(A649 L'étoile) | ||||
라 벨 풀(A650 La Belle Poule) | ||||
라 그랑 에르민(A653 La Grand Hermine) | ||||
위스프(A Wisp) | 1987년 | |||
뮤탱(A652 Mutin) | 1927년 | |||
보급함 | 자크 슈발리에급 보급함 | 1 | 2척 건조 중, 1척 계획 중[64] | |
보급함 | 뒤랑스급 | 1 | [65] | |
해상예인선 | UT515급 | 2 | ||
해상예인선 | VS-491CD급 | 2 | ||
항만예인선 | RPC 12형 | 17 |
역대 함정에 대해서는 프랑스 해군 함정 목록을 참조.
4. 2. 항공기
종류 | 기종 | 대수 |
---|---|---|
고정익기 | 엠브라에르 EMB 121 싱구 | 11 |
그루먼 E-2C 호크아이 | 3 | |
다쏘 팔콘 10MER | 6 | |
다쏘 팔콘 200 가디언 | 5 | |
다쏘 팔콘 50M | 5 | |
다쏘 라팔 M | 28 | |
다쏘 브레게 쉬페르 에탕다르 | 34 | |
회전익기 | 아에로스파시알 SA 319B 알레트 3 | 25 |
아에로스파시알 SA 330Ba 퓨마 | 100 | |
웨스트랜드 링스 Mk.4 | 25 | |
유로콥터 SA365F/N 도핀 2 | 3/6 | |
유로콥터 AS565MA 팬터 | 16 | |
유로콥터 EC225 | 2 | |
유로콥터 EC725 R2 쿠거 Mk.2 플러스 레스코 | 4 | |
유로콥터 EC725 HUS | 10 | |
NH 인더스트리 NH90 NFH | 2 |
프랑스 해군 항공대(Aéronautique navale)는 1998년 6월 19일 해군 해상초계기 및 항공모함 비행대대가 통합되면서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1] 약 6,800명의 군인과 민간인이 프랑스 본토의 4개 공군 기지를 중심으로 근무하고 있다.[1] 샤를 드 골 항공모함에서 운용되는 40대의 다쏘 라팔 전투기 등을 통해 현대화되었다.[1]
5. 계급
프랑스 해군의 계급 휘장은 셔츠와 흰색 재킷의 어깨 끈, 그리고 해군 재킷과 망토의 소매에 부착된다. 2005년까지는 장교만 휘장에 닻을 달았지만, 현재는 병사도 닻을 단다.[21] 지휘관은 ''capitaine'' 계급이지만, ''commandant''라고 불린다.
프랑스 해군의 최고 계급인 vice-amiral d'escadre|함대 부제독프랑스어와 amiral|해군 대장프랑스어은 계급이라기보다는 직책이다. 이 직책은 vice-amiral|중장프랑스어 계급의 장교가 맡는다. 유일한 amiral de la flotte|함대 사령관프랑스어는 amiral de France|프랑스 해군 원수프랑스어 지위를 거부당한 프랑수아 다를랑이었다. 프랑스 원수와 동등한 amiral de France|프랑스 해군 원수프랑스어 계급은 프랑스 제5공화국에서는 이론상 계급으로 남아 있다. 1869년 프랑스 제2제정 시대에 마지막으로 이 계급이 부여되었지만,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에도 소지자가 사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amiral de la flotte|함대 사령관프랑스어 계급은 다를랑이 영국 왕립 해군의 함대 사령관과 계급에서 열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신설되었다.[21]
장교는 장성 4계급이지만, 준장을 두지 않고 중장과 대장 사이에 상급중장을 둔다. 상급중장은 영미식 계급 제도에서 중장에 해당하며, 중장과 소장은 각각 소장과 준장(대장)에 해당한다. 제도상 해군원수인 Amiral de France|프랑스 해군 원수프랑스어가 존재하지만, 1869년 François Thomas Tréhouart|프랑수아 토마 트레우아르프랑스어 이후 취임 사례는 없다. 해군원수인 Amiral de la flotte|함대 사령관프랑스어는 프랑수아 다를랑에게만 수여되었다. 영관·위관은 3계급이며, 그 아래에 장교후보생(Aspirant)과 해군대학교 학생(Élève-officier)이 있다.[21]
부사관은 상급 3계급, 하급 2계급으로 총 5계급이다. 다만 최고위인 Major는 준위로 간주되므로 실질적으로는 4계급이다. 그 아래에 해군학교 학생(Maîstrancier)이 있지만, 이는 병의 최고 계급과 동일하게 취급되어 병장에 상당한다. 병은 3계급이지만, 최하급인 Matelot이 2종으로 구분되므로 실질적으로는 4계급이다.
2015년 프랑스 해군 인원 구성은 다음과 같다.[21]
구분 | 규모 |
---|---|
장교 | 4,500명 |
부사관 | 23,600명 |
수병 | 6,600명 |
자원봉사자 | 767명 |
민간 직원 | 2,800명 |
5. 1. 장교
계약 장교는 최초 8년 계약으로 복무하며, 최대 20년까지 갱신될 수 있다.- 운영 장교는 21세에서 26세 사이여야 하며, 이학사 학위 이상 또는 공학 또는 경영 분야의 프랑스 고등교육 입시 준비반을 통과해야 한다.
- 참모 장교는 21세에서 29세 사이여야 하며, 군사 직무 분야에 해당하는 우등 학위 또는 석사 학위를 소지해야 한다.
- 22세 미만으로 과학 분야 예비학교(classe préparatoire)를 졸업한 경우. 해군사관학교(École Navale)에서 4년 과정을 수료하면 공학 학위와 함께 소위(Enseigne de Vaisseau)로 임관한다.
- 25세 미만으로 과학 분야에서 우등 학위를 취득한 경우. 해군사관학교에서 3년 과정을 수료하면 공학 학위와 함께 소위(Enseigne de Vaisseau)로 임관한다.
- 27세 미만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한 경우. 해군사관학교에서 2년 과정을 수료하면 소위(Enseigne de Vaisseau)로 임관한다.[22]
프랑스 해군의 계급 휘장은 셔츠와 흰색 재킷의 어깨 끈에, 그리고 해군 재킷과 망토의 소매에 부착된다. 2005년까지는 장교들만 휘장에 닻을 달았지만, 현재는 병사들도 닻을 달고 있다. 지휘관들은 계급이 ''capitaine''이지만, ''commandant''라고 불린다(육군에서는 ''capitaine''과 ''commandant'' 모두 계급이며, 이로 인해 대중들 사이에 혼란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최고 계급인 vice-amiral d'escadre프랑스어와 amiral프랑스어(해군 대장)은 계급이라기보다는 직책이다. 이 직책은 vice-amiral프랑스어(중장) 계급의 장교가 맡는다. 유일한 amiral de la flotte프랑스어(함대 사령관)는 amiral de France프랑스어(프랑스 해군 원수)의 지위를 거부당한 프랑수아 다를랑이었다. 프랑스 원수의 지위와 동등한 amiral de France프랑스어 계급은 프랑스 제5공화국에서는 이론상의 계급으로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이 계급이 부여된 것은 1869년 프랑스 제2제정 시대였지만, 프랑스 제3공화국 시대에도 소지자 사망 시까지 유지되었다. amiral de la flotte프랑스어 계급은 다를랑이 영국 왕립 해군의 함대 사령관과 계급에서 열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신설되었다.[22]
장교는, 장성은 4계급이지만 준장을 두지 않고, 대신 중장과 대장 사이에 상급중장이 있다. 상급중장은 영미식 계급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중장에 상당하며, 중장과 소장은 각각 소장과 준장(대장)에 상당한다. 제도상 해군원수가 되는 Amiral de France프랑스어가 존재하지만, 1869년 François Thomas Tréhouart프랑스어 이후 취임 사례는 없다. 또한, 해군원수가 되는 Amiral de la flotte프랑스어도 예전에는 존재했지만, 프랑수아 다를랑에게만 수여되었다. 영관·위관은 3계급, 그 아래에 장교후보생(Aspirant)과 해군대학교 학생(Élève-officier)이 있다.[22]
NATO 코드 | OF-10 | OF-9 | OF-8 | OF-7 | OF-6 | OF-5 | OF-4 | OF-3 | OF-2 | OF-1 | ||||||||||||||
---|---|---|---|---|---|---|---|---|---|---|---|---|---|---|---|---|---|---|---|---|---|---|---|---|
-- -- -- -- -- -- -- -- -- -- --[22] | Amiral de France프랑스어 | Amiral프랑스어 | Vice-amiral d'escadre프랑스어 | Vice-amiral프랑스어 | Contre-amiral프랑스어 | Capitaine de vaisseau프랑스어 | Capitaine de frégate프랑스어 | Capitaine de corvette프랑스어 | Lieutenant de vaisseau프랑스어 | Enseigne de vaisseau de 1{{sup프랑스어 | Enseigne de vaisseau de 2{{sup프랑스어 |
5. 2. 부사관 및 수병
2015년 프랑스 해군 인원 구성을 보면, 부사관은 23,600명, 수병은 6,600명이다.[21] 선원은 17~30세 사이어야 하며, 학력 요건은 없다. 준사관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대학 진학 자격 수준)이어야 하고, 17~30세 사이어야 한다. 준사관 후보생은 브레스트(Brest, France)에 있는 준사관 훈련학교에서 5개월간 훈련을 받는다.프랑스 해군 계급 휘장은 셔츠와 흰색 재킷의 어깨 끈, 해군 재킷과 망토의 소매에 부착된다. 2005년까지는 장교만 휘장에 닻을 달았지만, 현재는 병사도 닻을 단다.
프랑스 해군 부사관 및 병 계급은 다음과 같다.[23]
NATO 코드 | OR-9 | OR-8 | OR-7 | OR-6 | OR-5 | OR-4 | OR-3 | OR-2 | OR-1 | |||||||||||||||||||||||||||
---|---|---|---|---|---|---|---|---|---|---|---|---|---|---|---|---|---|---|---|---|---|---|---|---|---|---|---|---|---|---|---|---|---|---|---|---|
colspan=2 | | ||||||||||||||||||||||||||||||||||||
Major|소령 (프랑스)프랑스어 | Maître principal|상급 하사관#프랑스프랑스어 | Premier maître|상급 하사관#프랑스프랑스어 | Maître|상급 하사관#프랑스프랑스어 | Second-maître|이등 하사관프랑스어 | Quartier-maître de 1ère classe|상급 하사관#프랑스 해군프랑스어 | Quartier-maître de 2ème classe|상급 하사관#프랑스 해군프랑스어 | Matelot breveté|수병 (계급)프랑스어 | Matelot|수병 (계급)프랑스어 |
부사관은 상급 3계급, 하급 2계급으로 총 5계급이다. 다만 최고위인 Major는 준위로 간주되므로, 실질적으로는 4계급이다. 그 아래에 해군학교 학생(Maîstrancier)이 있지만, 이는 병의 최고 계급과 동일하게 취급되어 병장에 상당한다. 병은 3계급이지만, 최하급인 Matelot이 2종으로 구분되므로 실질적으로는 4계급이다.
6. 미래
유로존 위기로 인한 프랑스의 재정 문제는 군의 모든 부문에 영향을 미쳤다. 2013년 프랑스 국방 및 국가 안보 백서는 장기간 계획되어 온 새로운 항공모함(PA2) 건조 계획과 4번째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건조 계획을 취소했다.[27] 함대의 중추는 아키텐급 FREMM 대잠 호위함이 될 것이며, 조르주 레이게급 호위함을 대체할 예정이다. 그러나 최대 17척의 FREMM 함정을 건조하려는 계획은 11척, 8척으로 축소되었다. 3번함과 4번함 오리존급 구축함 건조 계획 취소로 인해, 2021년과 2023년 사이에 취역한 마지막 두 척의 FREMM 함선은 카사르급 호위함을 대체할 FREDA 방공함으로 개조되었다.[28] DCNS는 탈레스사의 시 파이어 500 AESA 레이더를 사용하여 탄도탄 방어를 강조한 FREMM-ER 개념을 제시했다.[29]
산업적 고려 사항으로 인해 FREMM 9~11번함 건조에 배정되었던 예산은 2024년부터 5척의 추가 수출형 FDI (FDI, 프랑스어: Frégate de Défense et d'Intervention, 방어 및 개입 호위함, "중형 호위함") 건조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는 라파예트급 호위함을 보완하고 궁극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라파예트급 호위함 3척은 새로운 소나를 장착하여 2030년대 초까지 운용될 예정이다.[30] 지원함과 관련하여, 뒤랑스급 유조선은 FLOTLOG 프로젝트에 따라 이탈리아의 불카노급 군수지원함을 기반으로 한 최대 4척의 함정으로 대체될 예정이며, 3척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인도될 예정이다.[31] 4번째 함정은 2030년 이후로 건조가 지연될 예정이다.[32]
6척의 바라쿠다급 원자력 공격 잠수함 중 첫 번째 함정 건조가 시작되었으며, 쉬프랭함은 2020년에 취역했다. 이 원자력 공격 잠수함은 2030년대에 새로운 3세대 핵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SNLE 3G)으로 점진적으로 대체될 예정이며, 건조는 2024년에 시작되었다.
2010년에 첫 번째 MM40 엑소세 블록 3 미사일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스톰 섀도우(SCALP EG) 대지 공격 순항 미사일의 해군형이 개발 중이며, 탄도탄 요격 능력이 향상된 아스터 블록 1NT 미사일도 계획 중이다.
2018년 10월, 프랑스 국방부는 2030년 이후 샤를 드 골 항공모함의 후계 함정을 위한 18억유로 규모의 18개월 연구를 시작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2020년 새로운 항공모함 건조를 결정했으며,[33] 취역 후 2080년대 이후까지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34][35] 새로운 항공모함 건조는 2025년경에 시작될 예정이며, 2030년대 후반에 취역할 것으로 예상된다.
7. 한국과의 관계
사국 함대의 하관 포격이나 에도 막부의 발안 아래 기술자 베르니의 지도로 만들어진 요코스카 조선소, (게스트 참가한 「뒤플렉스」 단 한 척의 배수량이 일본 함선 여섯 척의 합계를 넘었다) 메이지 3년의 덴포잔 앞바다에서의 일본 해군 최초의 관함식 등 일본 역사에도 약간 관련이 있다. 막부 해군이 전습소에서 프랑스 해군 군인을 교관으로 고용한 인연으로, 보신 전쟁의 미야코만 해전에서는 막부군의 「카이텐」이 신정부군의 「토(갑철)」에 자주 잔류한 교관 니콜 직전의 접현 찔러들어가기(아보르다주)을 선보였으나 격퇴당했다.[1]
일본 해군도 설립 당시에는 프랑스로부터의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었고, 기술자 에밀 베르탕에게 이른바 「삼경함」의 설계 의뢰나 군함의 수입을 실시했다. 「우네비」가 1886년 일본 귀환 중 남중국해에서 행방불명이 되는 사건도 일어났지만, 「마쓰시마」는 1894년의 청일 전쟁에서 일본 최초의 연합함대 기함을 맡았다. 그러나 19세기 말에 일본 해군의 기본 전략이 연안 방어에서 외양에서의 기동 타격으로 바뀌자, 일본 해군은 프랑스식의 저속 거포함보다 영국식의 고속함과 속사포의 조합을 선호하게 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Defence Key Figures: 2016 Edition
http://www.defense.g[...]
Ministère des Armėes
[2]
웹사이트
Forces de surface
http://www.defense.g[...]
Ministère des Armėes
2021-08-29
[3]
간행물
World Air Forces 2019
https://www.flightgl[...]
2019-08-07
[4]
서적
Sea Power and the Asia-Pacif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웹사이트
The Royal Navy: Britain's Trident for a Global Agenda
https://web.archive.[...]
Henry Jackson Society
2006-11-04
[6]
서적
The Anglosphere Challenge: Why the English-speaking Nations Will Lead the Way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2007-01-01
[7]
문서
Along with the U.S., U.K., China, Russia, Italy, India, and Spain
[8]
웹사이트
France's Brand New Aircraft Carrier is On Its Way
https://nationalinte[...]
2021-06-04
[9]
웹사이트
China Launches Third Carrier
https://www.defensen[...]
2022-08-22
[10]
웹사이트
Forces
https://www.defense.[...]
Ministère des Armėes
2021-06-05
[11]
웹사이트
Key defence figures 2014
https://web.archive.[...]
Ministère des Armėes
[12]
문서
L'Ordonnance royale de 1772 prévoit le port de l'ancre d'or sur les tenues des régiments des ports constituant le corps royal de la Marine, implantés à Toulon, Brest, Rochefort, Saint-Malo, Bordeaux, Le Havre, Bayonne et Cherbourg.
[13]
서적
The French Navy in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14]
서적
The Franco-Prussian War: The German conquest of France in 1870–1871
[15]
서적
The Way for the Rhine Frontier, 1870: Its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16]
웹사이트
Description and photograph of Foudre
http://www.hazegray.[...]
[17]
웹사이트
French Navy, World War 1
http://www.naval-his[...]
Naval-history.net
2011-12-28
[18]
웹사이트
État-major
http://www.defense.g[...]
Defense.gouv.fr
2011-12-28
[19]
웹사이트
Forces (Navy)
http://www.defense.g[...]
Ministry of Defence (France)
2011-11-14
[20]
서적
Command in NATO after the Cold War
[21]
웹사이트
Chiffres clés de la Défense – 2016
http://www.defense.g[...]
2017-03-06
[22]
웹사이트
Instruction n°1 DEF/EMM/RH/CPM relative aux uniformes et tenues dans la Marine du 15 juin 2004
http://archive.wikiw[...]
2004-06-15
[23]
웹사이트
Instruction n°1 DEF/EMM/RH/CPM relative aux uniformes et tenues dans la Marine du 15 juin 2004
http://archive.wikiw[...]
2004-06-15
[24]
웹사이트
Rapport sur la féminisation des noms de métier, fonction, grade ou titre – La diversité des usages
http://www.culture.g[...]
[25]
웹사이트
Musique des Équipages de la Flotte
https://www.defense.[...]
Ministère des Armées
2021-08-29
[26]
간행물
Tambour battant: la tradition millitaire
https://web.archive.[...]
1989
[27]
웹사이트
French White Paper: Defence and National Security
http://www.defense.g[...]
Government of France
2021-08-29
[28]
웹사이트
Projet De Loi De programmation Militarie 2014/2019
http://www.infosdefe[...]
2013-08
[29]
웹사이트
DCNS to unveil new FREMM Frigate variant, updated BRAVE supply ship design at Euronaval 2012
http://www.navyrecog[...]
2012-10-04
[30]
웹사이트
Update to French Military Planning Law Means New Capabilities for Lafayette Class Frigates
http://www.navyrecog[...]
2015-05-21
[31]
뉴스
Pétrolier ravitailleur : la France monte à bord du programme italien Vulcano
https://www.latribun[...]
2018-06-15
[32]
웹사이트
Dernière navigation pour le BCR Marne, qui passe le flambeau au BRF Jacques Chevallier
https://www.meretmar[...]
2023-04-13
[33]
웹사이트
Macron kicks off French race to build a new 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https://www.defensen[...]
2020-12-08
[34]
웹사이트
France starts study phase for new aircraft carrier
https://navaltoday.c[...]
2018-10-24
[35]
웹사이트
France Launches Studies for New Aircraft Carrier
http://www.defense-a[...]
2018-10-24
[36]
웹사이트
日仏親善訓練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海上幕僚監部
2021-05-14
[37]
웹사이트
フランス海軍との共同訓練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海上幕僚監部
2021-05-14
[38]
웹사이트
英海軍マーリンヘリコプターが佐世保へ
https://www.gov.uk/g[...]
駐日英国大使館
2021-05-14
[39]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第5回日仏外務・防衛閣僚会合(「2+2」)
https://www.mod.go.j[...]
2021-05
[40]
웹사이트
「瀬取り」を含む違法な海上活動に対するフランスによる警戒監視活動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21-05-14
[41]
뉴스
「日米豪印、仏と海上訓練 ベンガル湾 中国の海洋進出念頭」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4-30
[42]
웹사이트
「インド太平洋における日仏防衛協力」
https://jp.ambafranc[...]
在日フランス大使館
[43]
서적
世界の艦船増刊 第1016集 世界の海軍 2024-2025
海人社
2024-03-14
[44]
웹사이트
L’aviso PM L’Her tire sa révérence après 43 années de navigation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6-28
[45]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46]
웹사이트
Bâtiments de soutien et d'assistance outre-mer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4
[47]
웹사이트
Patrouilleur Polaire L'Astrolabe (P 800)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48]
웹사이트
Autres patrouilleur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49]
웹사이트
Patrouilleurs outre-mer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50]
웹사이트
La DGA réceptionne le premier patrouilleur outre-mer (POM)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51]
웹사이트
Patrouilleurs Antilles Guyane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52]
웹사이트
Patrouilleur Le Malin (P701)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53]
웹사이트
Patrouilleurs de service public (PSP)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2
[54]
웹사이트
EDA-R (Engin de Débarquement Amphibie Rapide)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3
[55]
웹사이트
Groupe de plongeurs-démineur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3
[56]
웹사이트
Alizé (A 645)
https://www.archives[...]
フランス海軍
2024-09-23
[57]
웹사이트
Autres unités de guerre des mine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3
[58]
웹사이트
Bâtiment d'expérimentation de guerre des mine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3
[59]
웹사이트
Bâtiment hydrographique et océanographique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4
[60]
웹사이트
Bâtiment de recherches électro-magnétique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4
[61]
웹사이트
Bâtiments hydrographique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4
[62]
웹사이트
Bâtiment d’essais et de mesure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4
[63]
웹사이트
Bâtiments-école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6
[64]
웹사이트
La Direction générale de l’armement (DGA) réceptionne le "Jacques Chevallier", premier bâtiment ravitailleur de forces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6
[65]
웹사이트
Bâtiments de commandement et de ravitaillement
https://www.defense.[...]
フランス海軍
2024-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